보고서 - 호남인과 호남사상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7-24 08:46
본문
Download : 레포트 - 호남인과 호남사상.hwp
레포트 - 호남인과 호남사상





보고서 - 호남인과 호남사상
보고서 - 호남인과 호남사상
.
순서
.
이러한 근,현대 전남화풍의 보다 근본적인 뿌리는 조선 말기의 소치 허련이 고향인 진도로 귀향하여 정착한 데 있다아 운림산방의 개설과 그곳에서의 화업 전승이 이루어 놓은 것이다. 일제 식민지 시절부터 해외유학을 했거나 새로운 미술을 앞세운 이들이 지방 도시를 활동무대로하여 각자의 고향에 정착하면서 이룬 culture 형태로 여겨지기도 한다.
레포트(report) - 호남인과 호남사상
보고서 - 호남인과 호남사상
보고서 - 호남인과 호남사상
그 가운데서 광주를 중심으로 한 전남은 타지역에 비하여 보다 전통적 형식의 남종화풍을 승계한 전통회화가 강세였다.
거슬러 올라가 보면 조선시대의 한국회화사에서 비중있게 거론되는 작가들이 전남에서 배출되었던 사실도 간과할 수 없다.
그럼 근,현대 전남 화단 형성의 화파를 찾기 이전, 즉 조선시대의 배출된 작가 중 양팽손, 윤두서 등을 알아보고, 또한 허련과 그의 가업을 이은 아들 허형은 이곳에 정착하여 남도적인 토착화풍의 뿌리를 내린 위치임을 감안하여 장을 따로 구별하겠다.
2. 학포 양팽손(학포 양팽손)
호남은 예향으로 자처하기도 하고 또 그렇게 불리우기에 손색 없을만큼 뚜렷한 지역미술의 양식을 가진 곳이다.
보고서 - 호남인과 호남사상
그것은 여타의 지역-서울과 지방과의 이원적 회화사를 전개하기엔 무리가 따르지만-과도 마찬가지이다. 그것이 바로 타지역에서보다 전통성 강한 남도화파를 형성케 한 종자였던 셈이다. 왜냐하면 그들에게서도 전남 회화가 지닌 特性이나 그 전통의 맥을 찾을 수 있기 때문이다 오히려 윤두서의 경우에는 근대 이후에 이루어진 전남의 집단개성적인 작업보다 회화의 정통성과 신선함이 더 강하다. 다시 말하면 전남화단은 오지호가 새로이 서구 양식의 회화를 introduction한 일도 큰 역할을 하였지만 의제 허백련의 광주 정착이 남도화파 형성의 근거가 되었으며, 여기에 목포의 남농 허건이 가세하였다. 그러나 이와같은 작가들의 배출이 전남회화의 심도를 깊게 한 것임은 틀림없다. 물론 한국회화사에서 남도화파, 즉 호남의 회화를 거론할만한 여건의 성숙은 근대 이후이다.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보고서 - 호남인과 호남사상
Download : 레포트 - 호남인과 호남사상.hwp( 26 )
레포트 - 호남인과 호남사상 레포트 - 호남인과 호남사상 레포트 - 호남인과 호남사상 레포트 - 호남인과 호남사상 레포트 - 호남인과 호남사상
.
설명
다. 물론 이들의 회화는 주로 서울을 중심으로 활동한 결과이므로 지역화단의 개창이나 계보적 연결로 파악될 수는 없는 일이다. 즉 능주의 양팽손, 해남 윤씨일가의 윤두서, 윤덕희, 윤용 등이 그들인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