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왜 이동권인가?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16 05:37
본문
Download : 1 왜 이동권인가.hwp
`97년 7월 21일 서울시는 장애인 등 이동약자가 승차하기 쉽도록 버스 밑바닥 높이를 현행 78cm에서 38cm로 크게 낮춘 저상버스 도입을 발표했으나, 5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그 시행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접근에는 이동과 이동의 목적을 성취하는 것까지를 포함하는 의미가 내포되어 있다아 접근권이란 공간적인 이동과 접근을 보장하는 권리임은 물론 정보에 대한 이용과 접근에 대한 보장까지 포함하는 권리이다.
2. 왜 접근권인가?
Download : 1 왜 이동권인가.hwp( 61 )




설명
1. 왜 이동권인가?
레포트/인문사회
,인문사회,레포트
2. 왜 접근권인가? 우리가 인간답게 살고 사회에 참여하여 살아가기 위해서는 단순히 공간적인 이동만으로는 불가능하다. 따라서 이동권이 단순히 공간에 대한 이동만을 보장하는 권리라면 접근권은 한단계 더 나아가 이동과 정보에 대한 접근을 보장해 주는 권리라고 할 수 있다아 접근권이 의미하는 것은 이러한 이동과 정보에 대한 접근을 보장함으로써 완전한 참여와 평등을 가능하게 해주는 것이다. 부산지하철의 …(To be continued )
순서
우리가 인간답게 살고 사회에 참여하여 살아가기 위해서는 단순히 공간적인 이동만으로는 불가능하다. 이동과 접근(ac...
다. 이동과 접근(ac... , 1. 왜 이동권인가?인문사회레포트 ,
2. 왜 접근권인가?
우리가 인간답게 살고 사회에 참여하여 살아가기 위해서는 단순히 공간적인 이동만으로는 불가능하다.
3. 이동권의 實態
`안전하고 편리하게 이동할 수 있는 권리는 인간에게 있어서 가장 기본적인 것이다. 이동과 접근(access)이 보장되어야 하고, 정보에 대한 접근 역시 보장이 되어야만 가능하다. 그리고 부산시에서 운행되는 버스의 높이는 90㎝나 된다 부산시에서도 올해 저상버스의 도입을 계획하고 있으나 올해의 국제경기 개최를 대비한 생색내기 이상은 아니다. 접근이란 단순히 접촉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지하철의 경우는 어떠한가? 현재 전체 336개 지하철 history 중 엘리베이터가 설치된 곳은 21%에 지나지 않는 78곳 뿐이다.`
외국의 경우 1980년대부터 저상버스가 보편화되고 있다아 저상버스는 마치 길에서 걷는 듯 탈 수 있어 휠체어 사용자를 비롯한 이동약자(노인, 임산부, 아동 등)에게는 물론 일반 승객들에게도 안전하고 편리할 뿐만 아니라, 승차시간도 단축시켜 효율적인 교통수단으로 인정받고 있다아
한국 사회에서 버스는 단지 비장애인들에게만 `대중`교통일 뿐, 대부분의 장애인들에게는 접근조차 불가능한 `그림의 떡`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