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성리학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6-14 02:31
본문
Download : 한국성리학.hwp
한국성리학
한국성리학
2) 퇴계 성리학과 『성학십도』
다. 1572년부터는 율곡 이이와 우계 성혼 간에 제2차 사단칠정 논변이 일어난다.
Download : 한국성리학.hwp( 11 )
한국성리학
1) 사단칠정 논변의 관건 문제
한국성리학
퇴계의 이해석은 사단과 칠정의 리기론적 규정을 각각 다르게 한 것으로, 사단을 리에 칠정
설명
한국성리학





한국성리학
한국성리학
사림파 성리학 진영의 학자들이 리기심성론을 적극적으로 논구하게 됨에 있어 기폭제가 된 사건이 1559년부터 8년간 진행된 퇴계 이황과 고봉 기대승 간의 사단칠정 논변이다. 주자는 인간 내면의 정서를 총괄하여 ‘정(情)’ 이라는 용어로 정리(整理) 하였다. 주자철학에서는 사단도 정이고 칠정도 정이다. 위의 책, p310~312
한국성리학
.
한국성리학 한국성리학 한국성리학 한국성리학 한국성리학 한국성리학 한국성리학
.
주자철학의 리기론에 따른다면 어떠한 종류의 정이 되었든 모든 정의 근거는 인의예지의 성 하나뿐이다. 제1차 논변의 퇴계와 제2차 논변의 우계가 이 입장을 취한다. 사단의 감정을 그대로 행동으로 옮기면 도덕적으로 옳은 행위가 된다 반면에 칠정은 도덕과는 직접적인 관계가 없는 비-도덕 감정이다. 그렇다면 칠정의 근거도 인의예지의 성이다. 다른 하나는 사단과 칠정이 비록 성격을 달리 하나 리기론상으로 볼 때 둘 다 리(理)에 의거하여 선(善)을 실현하고자 한다는 점에서는 차이가 없으므로 리기론상으로는 양자 간에 차이가 없다는 입장이다. 제1차 논변의 고봉과 제2차 논변의 율곡이 이 입장을 취한다. 사단은 도덕 감정이다. 사단과 칠정은 모두 인간의 의식지평에서 일어나는 정서이다. 사단칠정론은 한국 성리학에서만 나온 논제이다.순서
한국성리학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
한국성리학
[四端, 理發而氣隨之, 七情, 氣發而理乘之]
사단은 리가 발한 것에 기가 따른 것이고, 칠정은 기가 발한 것에 리가 탄 것이다. 제1차 사칠논변과 제2차 사칠논변을 합하여 고유명사로 사단칠정 논변이라 부른다. 여기에서 사단칠정의 해석을 놓고 두 입장이 나뉘게 된다 하나는 도덕 감정인 사단과 비-도덕 감정인 칠정은 명백히 그 성격이 다르므로 리기론상의 해석도 달라야만 한다는 입장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