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학] 고교다양화 300 프로젝트의 추진방향과 개선대책ok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06-01 23:07
본문
Download : 고교다양화 300 프로젝트의 추진방향과 개선방안ok.hwp
1. 고교 다양화 300 프로젝트가 공교육을 바꿀 가능성은?
(2) 2008년까지 20개교를 선정하고 2011년까지 50개교를 선정한다면 결국 시도별로 3-4개 정도이다.
(3)이들 학교에 대하여는 학비면제를 한다.
3) 대학입학사정관제 도입의 여건과 환경이란 중등교육현장과 고등교육현장 모두에게 해당되는 말이다. 기숙형 학교 하면 할리우드 영화 속에서 부유층 자제들의 사교장이나 문제아들의 도피처로 그려지는 경향이 있다아 하지만 efficacy에 대한 전문가들의 여러 가지 analysis은 반드시 그렇지만은 않다는 것이다.
4. 한국교육개발원, 고교 평준화 정책의 적합성 연구(Ⅲ) -학교 교육의 實態와 보완project, 한국교육개발원, 2005
(3) 사회적 약자에 대한 배려
잘 참고하시어 학업에 나날이
6. 고교선택제와 강제배정제 그리고 평준화정책
평준화 정책은 중학교가 1969년부터, 고등학교가 1974년부터 실시되었다. 특히 고등학교 평준화 정책은 실시 전에 입시교육으로 인한 교육과definition 파행적 운영, 전인적 성장 장애, 고등학교간 교육격차 심화, 재수생 누적과 과외, 학생인구의 도시집중 등의 문제로 정책추진이 이루어졌다.
2. 공교육 발전의 선순환 프로젝트 300
2) 서열화가 되어버릴 다양화
2) 공교육 쇄신을 노리는 고교 다양화 300 프로젝트
발전이 있기를 기원합니다 ^^
전국 방방곡곡의 농어촌 지역에 82개교의 기숙형 공립 고등학교가 탄생한다.
4) 기숙형 공립학교의 지원대안
(5) 사학의 학생은 government 로부터 교육비 혜택을 받지 못함
고교다양화 300 프로젝트, 대학입학사정관제, 자율형 사립고등학교, 자율형 사립학교, 고교선택제강제배정제, 마이스터 고등학교, 기숙형 공립고등학교, 이명박정부의 교육정책,기숙형 고등학교,
(7) 사학에 대한 지원은 국·공립 수준과 차이가 없는 형태로 이뤄져야 한다.
(4) 학생선발방식
4. 자율형 사립학교의 problem(문제점)의 改善(개선) 대안
1) 기숙형 공립학교 에 대하여
(2) 수업료 등 납입금의 책정권. 학생납입금의 자율적 결정
(1) 마이스터고교는 特性화고교중 우수학교를 대상으로 하는 것이다.
다.
1) 자율형 사립학교란?
3) 자율형 사립고등학교의 problem(문제점)의 改善(개선) 대안
서지사항
2) 마이스터고교와 관련된 내용
3) 기숙형 공립학교 선정에 대하여
Ⅰ. 서 론
2) 기숙형 공립학교의 동향 및 problem(문제점)
설명
(4) 외국어 교육, 해외연수 및 취업-진학 지원한다고 하는데 현재 선린 누리망 고교를 참고한 것 같다.
5. 김현진ㆍ최상근, 고교평준화제도와 사교육비 지출의 관계 분석. 한국교육, 2004
(1) 저소득층 학생 입학기회 확대 및 장학제도 확충 필요하다.
1) 고교 다양화 300 프로젝트’의 키워드, 다양화와 선택
3) 마이스터 고교의 추진방향
2) 대학입학사정관제 이해에 또 다른 필수요소중 하나는 대학이 중등학교에 인재상을 제시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7) 산업체, 시민(Citizen)단체 등도 협약을 통하여 학교를 운영할 수 있는 통로를 마련한다. 중간에 일부 수정을 거치고 평준화 지역이 확대되었다.
2. 고귀선 한국학부모신문 편집위원
위 資料 요약정리(整理) 잘되어 있으니
1) 대학이 학부모들과 사회에다가 대학의 주관적 판단을 존중해 달라고 요구하기는 어렵다. 오히려 일부 우려와는 상반된 결과도 나오고 있다아 재학생들의 성취동기를 높이고 독립심과 책임감을 길러주며, 서로 격려하는 학습 공동체로서의 기능을 한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아
11. 강영혜, 고교평준화 정책의 적합성 연구; 實態분석, 정책effect의 검증 및 개선대책 모색, 한국교육개발원, 2005.





8. 임연기 공주대 교육학과 교수 국가농산어촌교육발전센터장
9. 「2011 비전과 project: 열린 세상, 유연한 경제」, 박명호, 2002, 한국경제학사학회
3) 학교에 대한 손가락질을 개인에게 돌릴 수는 있어
1) 공교육 내실화, 교육개혁의 숙제
7. 대학입학사정관제에 대한 단상
[참고資料] 1. 강태중(중앙대학교 교육학과 교수), 고교 다양화 300 프로젝트’가 공교육을 바꿀 가능성은
(2) 특색있는 학교 만들기 선도학교 114개교 지정
Ⅱ. 본 론
Download : 고교다양화 300 프로젝트의 추진방향과 개선방안ok.hwp( 40 )
(4) 사립보다 공립학교가 우선해야 한다. 정책이 실시되는 가운데 찬반 논란이 있었다.
(1) 사교육에 맞설 기숙형 공립고등학교
7. 이공훈, 한국학부모신문 자문위원, 학벌없는 사회만들기 대표
5) 농어촌 기숙형 공립고가 성공하려면
(2) 자율과 경쟁으로 가는 대안, 자율형 사립고등학교
[교육학] 고교다양화 300 프로젝트의 추진방향과 개선대책ok
4) 300 프로젝트가 성공해도 남을 숙제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6. 이승표, 교육을 받을 권리와 바람직한 교육정책 : 교육평준화 정책과 학교선택권을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5
12. 양을근, 고등학교 평준화 정책의 평가, 계명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00
(5) 커리큘럼과 교원에 대한 규제를 철폐하고 학교단위 자율성을 보장한다.
3. 박현정 외 3인, PISA 학업성취도 분석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05
(3) 자율형사립고 및 특수목적고의 학생모집단위는 자율 선택사항으로 맡겨야 한다. 평준화 정책의 찬성논리는 전인교육의 실현, 과열과외 및 재수생 문제 완화, 교육격차 해소 등을 들었다.
위 자료 요약정리 잘되어 있으니 잘 참고하시어 학업에 나날이 발전이 있기를 기원합니다 ^^ [참고자료] 1. 강태중(중앙대학교 교육학과 교수), 고교 다양화 300 프로젝트’가 공교육을 바꿀 가능성은 2. 고귀선 한국학부모신문 편집위원 3. 박현정 외 3인, PISA 학업성취도 분석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05 4. 한국교육개발원, 고교 평준화 정책의 적합성 연구(Ⅲ) -학교 교육의 실태와 보완과제, 한국교육개발원, 2005 5. 김현진ㆍ최상근, 고교평준화제도와 사교육비 지출의 관계 분석. 한국교육, 2004 6. 이승표, 교육을 받을 권리와 바람직한 교육정책 : 교육평준화 정책과 학교선택권을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5 7. 이공훈, 한국학부모신문 자문위원, 학벌없는 사회만들기 대표 8. 임연기 공주대 교육학과 교수 국가농산어촌교육발전센터장 9. 「2011 비전과 과제: 열린 세상, 유연한 경제」, 박명호, 2002, 한국경제학사학회 10. 고교 평준화 정책의 평가연구, 김윤태 외, 한국교육개발원, 1978. 11. 강영혜, 고교평준화 정책의 적합성 연구; 실태분석, 정책효과의 검증 및 개선방안 모색, 한국교육개발원, 2005. 12. 양을근, 고등학교 평준화 정책의 평가, 계명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00
(1) 자율형 사립고등학교의 설립 목적
10. 고교 평준화 정책의 평가연구, 김윤태 외, 한국교육개발원, 1978.
1) 마이스터고교란?
Ⅲ. 결 론
Ⅰ. 서 론
(5) 희망 사학 전체가 자율형 사학으로 전환할 수 있는 제도적 활로를 부여해야 한다.
2) 자율형 사립고의 problem(문제점)
(6) 농산어촌지역부터 단계적으로 도입해야 한다.
(6) 마이스터고와 고등교육기관과의 유기적 연계를 강화한다. 반대논리는 하향 평준화, 사학의 자율성 위축, 선택기회의 확대 필요성 등을 제시했다.
5. 마이스터고교의 추진방향
3. 기숙형 고등학교의 추가 선정 모형과 전술
8. 고교다양화 300 프로젝트에 대한 나의 제언-고교다양화 300 프로젝트’ 제외 학교 지원 대안 마련 촉구
(1) 법인전입금의 문제
(3) 전문계 교육의 정체성 재건을 맡을 마이스터 고등학교
순서
(2) 교육과학기술부 장관과의 사전협의제는 폐지되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