욕망-생물학적 욕구, 이성적 바람, 사적 이익과 공적 의로움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6-18 07:16
본문
Download : 욕망-생물학적 욕구, 이성적 바람,.hwp
곧 인간은 태어날 때부터 본래적으로 가지고 있는 선한 ‘인의예지’의 실마리를 확충하여, 도덕적 이상 사회를 현실에 구현해야 한다. 선진 시대공자나 맹자는 인간의 욕망을 부정할 수 없는 것으로 여긴다. 그러나 왕부지는 구체적인 현실 사회를 떠난 도덕의 내용보다 역동적으로 변화하는 현실 사회를 배경으로 하는 도덕적 이상 사회 건설의 중요성을 인식했다. 왕부지에 의하면 인간은
도덕의 이상을 현실에 투영하고자 했던 송대 성리학자들에 의해 더욱
욕망-생물학적 욕구, 이성적 바람, 사적 이익과 공적 의로움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생리적인 욕구의 방임적 성향을 경계하는 선진 유가의 이러한 관점은
.
2. 유가철학에서의 욕망
욕망-생물학적 욕구, 이성적 바람, 사적 이익과 공적 의로움
순서
.
강화된다 특히 주희는 이러한 생리적인 욕구를 채우는 과정에 좋은 것으로 더 하고자 하는 마음과 사사롭게 하고자 하는 마음을 도덕적 마음과 대척점에 있는 인심으로 여기면서 제거의 대상으로 생각한다.
Download : 욕망-생물학적 욕구, 이성적 바람,.hwp( 37 )
3.주희의 욕망관
욕망-생물학적 욕구, 이성적 바람, 사적 이익과 공적 의로움 욕망-생물학적 욕구, 이성적 바람, 사적 이익과 공적 의로움
4. 왕부지의 욕망관
.
마음인 가욕과 도덕적 goal(목표) 나 이성적 계획을 이루고자 하는 소망 등의 의미를 포함한다. 그러나 그들은 생물학적 욕구의 방임적 성향을 염려하고, 도덕적 삶을 지향해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그에 의하면 이 인욕이 제거되지 않아 도덕성이 회복되지 않을 경우에 이기적인 culture가 형성되어 사회적 혼란이 증가한다. 곧 주희에게서 인욕이란 생리적인 욕구인 음식남녀에 좋은 것으로 더 하고자 하는 마음과 사사로운 욕심 등이다. 그러나 욕망에 대해 모든 사람이 동일한 관점을 취하는 것은 아닐것이다. . 욕망의 내용과 방향 및 실현 방법 등에 대해 다양한 관점이 있다 많은 철학자들은 고대부터 현재까지 이 욕망의 문제를 중요하게 취급했다. 따라서 건강한 공동체 건설을 위해 인욕을 방치하지 말고 제거해야 한다. 이철승, 「주희와 왕부지의 욕망관 analysis(분석) -『논어집주』『독논어대전설』의 내용을 중심으로-」『동양철학연구』제61집, 2010 p.5
다. 이철승, 「주희와 왕부지의 욕망관 analysis(분석) -『논어집주』『독논어대전설』의 내용을 중심으로-」『동양철학연구』제61집, 2010 p.3
욕망이란 ‘하고자 하는 것’으로 생리적인 욕구인 본능과 생리적인 욕구나 이성적 바람을 채우는 과정에 좋은 것으로 더 하고자 하는
유가철학에서도 이 욕망의 문제는 중요하게 취급되어진다. 이것은 인간이 욕망을 추구하는 존재임을 의미한다. 이철승, 「주희와 왕부지의 욕망관 analysis(분석) -『논어집주』『독논어대전설』의 내용을 중심으로-」『동양철학연구』제61집, 2010 p.3~4




욕망-생물학적 욕구, 이성적 바람, 사적 이익과 공적 의로움
욕망-생물학적 욕구, 이성적 바람, 사적 이익과 공적 의로움
설명
욕망-생물학적 욕구, 이성적 바람, 사적 이익과 공적 의로움
왕부지 역시 도덕적 이상사회를 현실에 투영하고자 한 점에서 주희의 관점과 큰 차이가 없다. 이 때문에 모든 인간은 살아 있는 한, 이 욕망의 문제에서 자유롭지 못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