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부문 장애인 고용의무 적용제외에 관한 연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09 19:35
본문
Download : 정부부문 장애인 고용의무 적용제외에 관한 연구.hwp
이렇게 함으로써 政府(정부)가 소외계층으로 분류되는 장애인에 대한 고용의무를 확대하고 적용제외를 최소화하거나 폐지하려는 의지를 천명함으로써 규모가 가장 큰 고용주가 아니라 고용주의 모델로서 장애인에 대한 민간부문의 고용을 끌어올리기 위한 명분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그럼 자료를 받으시는 모든 분들께 언제나 행복이 가득하시길 바랍니다^^정부부문장애인고용의무적용제외에관한연구 , 정부부문 장애인 고용의무 적용제외에 관한 연구인문사회레포트 ,
순서
정부부문장애인고용의무적용제외에관한연구
그럼 data(資料)를 받으시는 모든 분들께 언제나 행복이 가득하시길 바랍니다^^






정부부문 장애인 고용의무 적용제외에 관한 연구
다. 장애인고용 현재상황
라. 공무원의 구분
마. 장애인 고용가능도가 낮은 직종
2. 외국의 예
가. 日本(일본)
나. 미국
Ⅲ. 직렬별 현재상황 analysis(분석) 에 따른 대책
1. 직렬별 현재상황
가. 중앙행정기관
나. 지방자치단체
다. 교육청
라. 기타헌법기관
2. 적용제외 축소 plan
가. 적용제외 폐지
나. 적용제외 최소화
다.
설명
레포트/인문사회
,인문사회,레포트
부족하지만 최선을 다해 작성하고자 노력하였으니 만족하실 수 있으리라 생각됩니다. 고용촉진plan
2. 제언
Reference List
2. 연구의 목적
본 연구는 공무원의 직군·직렬에 따른 장애인공무원의 현재상황을 analysis(분석) 하여 과연 현재의 제외 직렬이 장애인의 고용이 불가능한 것인지 살펴보고, 이에 따라 장애인 고용을 최대화할 수 있도록 적용제외 직렬을 최소화할 수 있는 plan을 모색해 보는 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하여 문헌연구를 통하여 政府(정부)부문과 일반부문의 적용제외의 형평성을 살펴보고, 제 외국의 資料를 analysis(분석) 해 보고자 한다.
그러나 협조도가 낮아 회수를 위한 노력과 더불어 11월말까지 반송된 설문지를 대상으로 analysis(분석) 을 실시하였다. 이렇게 하여 중앙행정기관 29개 기관(회수율 60.4%), 지방자치단체 9개 기관(회수율 56.3%), 교육청 11개 기관(회수율 68.8%…(To be continued )
부족하지만 최선을 다해 작성하고자 노력하였으니 만족하실 수 있으리라 생각됩니다.
설문대상 기관은 중앙행정기관 48개 기관, 광역 지방자치단체 16개 기관, 광역 교육자치단체 16개 기관과 국회사무처, 법원행정처, 헌법재판소,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사무처 등 총 84개 기관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2000년 8월 우편으로 설문지를 발송하였다.
Download : 정부부문 장애인 고용의무 적용제외에 관한 연구.hwp( 78 )
Ⅰ. 서론
1. 연구의 必要性
2. 연구의 목적
3. 연구의 방법
4. 연구의 제한점
Ⅱ. 장애인 고용
1. 장애인 고용의무
가. 장애인의 定義(정의) 및 현재상황
나. 장애인 고용의무
다.
3. 연구의 방법
연구에 사용된 방법은 문헌조사를 통하여 필요한 資料를 확보 analysis(분석) 하고, 각 기관 대상 장애인 공무원 고용가능 조사를 실시하여 공무원별 직군·직렬·직류별 공무원 정·현원 및 장애인공무원 현원을 파악하고, 장애인고용가능 인원 및 고용불가인 경우 불가 사유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또한 공무원 정·현원에 대한 장애인 공무원의 직렬별 분포를 살펴봄으로써 고용가능성을 최대화 하고자 한다.
적용제외를 폐지하였을 경우 공무원 충원의 문제가되는점 을 살펴보고, 이 것이 여의치 않을 경우 연차적으로 적용제외를 축소함으로써 장애인 공무원의 추이를 예상해 보고자 한다. 적용제외의 단계적 최소화
라. 적용제외율 도입
Ⅳ. 고용촉진plan
1. 적용제외 폐지(축소) 및 의무채용 확대
2. 각 단체장에 대한 홍보 강화
3. 장애인고용촉진위원회 위상강화
4. 기관별 고용현재상황의 공표
5. 기타
가. 유보고용
나. 부담금 부과
다. 단기간 고용目標(목표) 설정
Ⅴ. 요약 및 제언
1. 요약
가. 장애인 고용
나. 직렬별 현재상황 analysis(분석) 에 따른 대책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