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wm.co.kr 한국 전통 악기 說明(설명) (한국어) > cwm4 | cwm.co.kr report

한국 전통 악기 說明(설명) (한국어) > cwm4

본문 바로가기

cwm4


[[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


한국 전통 악기 說明(설명) (한국어)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07-11 10:16

본문




Download : 한국 전통 악기 설명 (한국어).docx




청아하고 부드러운 음색으로 오늘날 가장 대중적인 국악기이다. 오동나무와 밤나무를 붙여서 만든 울림통 위에 명주실을 꼬아서 만든 6줄을 매고 술대로 쳐서 소리를 낸다.



순서




- 거문고

현금(玄琴)이라고도 한다. 『악학궤범』에는 『문헌통고』를 인용하여 이렇게 설명(說明)되어 있다 `갈고, 장구, 요고는 한나라와 위나라에서 사용되었다. 후세에는 이것을 장구라고 하였다. 552년 가야국이 멸망하려는 때에 악사 우륵이 가야금을 들고 신라에 투항하였다.
- 가야금

가얏고라고도 한다.
《삼국사기》에 가야금은 가야국(伽倻國)의 가실왕(嘉實王)이 당나라의 악기를 보고 만들었다는 설이 유력하다.` 한국에는 고려시대에 송나라로부터 수입되어 조정의(定義) 당악에 쓰이고, 그 뒤 오늘날까지 정악뿐만 아니라 민속악에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 북

북은 옛날에는 통나무를 잘라 안을 파서 사용했으나 지금은 길죽한 나무판을 모아 북통을 만들고 양면을 가죽으로 씌운…(To be continued )

Download : 한국 전통 악기 설명 (한국어).docx( 93 )




한국 전통 악기 설명 (한국어) , 한국 전통 악기 설명 (한국어)인문사회레포트 , 한국 전통 악기 설명 한국어




한국 전통 악기 說明(설명) (한국어)

설명
레포트/인문사회
한국,전통,악기,설명,한국어,인문사회,레포트


한국 전통 악기 說明(설명) (한국어)


다.
- 장구

장구는 허리 부분이 가늘다 하여 일명 `세요고`라 부르기도 하였다. 머리는 모두 넓고 허리는 가늘다. 오동나무 공명반에 명주실을 꼬아서 만든 12줄을 세로로 매어 각 줄마다 안족(雁足:기러기발)을 받쳐놓고 손가락으로 뜯어서 소리를 낸다. 오른쪽은 채로 치고 왼쪽은 손으로 친다. 이때 100여 곡을 지어서 연주하였더니 검은 학이 날아들어 춤을 추었기에 현학금(玄鶴琴)이라는 이름이 붙었고, 뒤에 ‘학’자를 빼고 ‘현금’이라 하였다고 한다. 소리가 깊고 장중하여 예로부터 ‘백악지장(百樂之丈)’이라 일컬어졌으며, 학문과 덕을 쌓은 선비들 사이에서 숭상되었다.
- 꽹과리

옛날부터 한국의 서민의 생활과 함께 했다. 요고의 통은 큰 것은 질그릇으로, 작은 것은 나무로 만든다. 기원은 《삼국사기》에, china 진(晉)나라에서 보내온 칠현금을 제이상(第二相) 왕산악(王山岳)이 본디 모양을 그대로 두고 그 제도를 많이 고쳐 만들었다고 한다. 정월의 동제, 축제, 농사철의 제에서 농악대의 선두에 섰고 지휘자 역할을 하였다.
REPORT 73(sv75)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www.cwm.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

[저작권이나 명예훼손 또는 권리를 침해했다면 이메일 admin@hong.kr 로 연락주시면 확인후 바로 처리해 드리겠습니다.]
If you have violated copyright, defamation, of rights, please contact us by email at [ admin@hong.kr ] and we will take care of it immediately after confirmation.
Copyright © www.cwm.co.kr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