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학행정] 근로자의 승진과 관련된 판례의 태도 연구 / 근로자의 승진과 관련된 판례의 태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05 23:49
본문
Download : 근로자의 승진과 관련된 판례의 태도 연구.hwp
근로자의 승진과 관련된 판례의 태도 연구 1. 들어가며 근로자의 승진은 ...
Download : 근로자의 승진과 관련된 판례의 태도 연구.hwp( 28 )
법학행정 근로자의 승진과 관련된 판례의 태도 연구 / 근로자의 승진과 관련된 판례의 태
순서
근로자의 승진과 관련된 판례의 태도 연구 1. 들어가며 근로자의 승진은 ...
[법학행정] 근로자의 승진과 관련된 판례의 태도 연구 / 근로자의 승진과 관련된 판례의 태





설명
근로자의 승진과 관련된 판례의 태도 연구 . 들어가며 근로자의 승진은 근로자 개인에게는 경제적, 신분적 이익이 되는 것으로서 승진 여부의 결정은 원칙적으로 사용자의 권한과 재량에 속하는 것이다. 구 노동조합법(1996. 12. 31. 법률 제5244호로 폐지, 이하 같다) 제39조 제1호는 `근로자가 노동조합에 가입 또는 가입하려고 하였거나 노동조합을 조직하려고 하였거나 기타 노동조합의 업무를 위한 정당한 행위를 한 것을 이유로 그 근로자를 해고하거나 그 근로자에게 불이익을 주는 행위`를 사용자의 부당노동행위의 한 유형으로 규정하고 있는바, 같은 법조의 부당노동행위가 성립하기 위해서는 근로자가 노동조합에 가입하는 등 노동조합의 업무를 위...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다. 그러나 사용자가 근로자의 노동조합활동을 혐오하거나 노동조합활동을 방해하려는 의사로 노동조합의 간부이거나 노동조합활동에 적극적으로 관여하는 근로자를 승진시켜 조합원 자격을 잃게 한 경우에는 노동조합활동을 하는 근로자에게 불이익을 주는 행위로서 부당노동행위가 성립될 수 있다 이 경우에 근로자의 승진이 사용자의 부당노동행위 의사에 의하여 이루어진 것인지의 여부는 승진의 시기와 조합활동과의 관련성, 업무상 피료썽, 능력의 적격성과 인선의 합리성 등의 유무와 당해 근로자의 승진이 조합활동에 미치는 effect(영향) 등 제반 사정을 고려하여 판단하여야 한다. 대법원 1992. 10. 27. 선고 92누9418 판결 . 판례의 주요 태도 ) 이른바 능력주의 승진제도 하에서 조합원이 노동조합에 가입하고 있음을 이유로 비조합원과 비교하여 승진에 있어서 불이익한 취급을 받았다고 하기 위하여는,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당해 조합원이 비교의 대상으로 된 비조합원과의 사이에 업무능력, 근무성적, 상위직에 대한 적격성 등에 있어서 차이가 없어야 할 것이고, 노조원과 비노조원을 전체적으로 비교하여 보아 승진에 있어서 격차가 있다고 하더라도 이로써 바로 구 노동조합법 제39조 제1호의 부당노동행위에 해당한다고 단정할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