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차의 전파, 고체의 밀도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31 07:06
본문
Download : 오차의 전파, 고체의 밀도.hwp
오차의 전파, 고체의 밀도
순서
☞이번 실험은 버니어 캘리퍼와 마이크로미터의 사용법을 익히고, 이들 기구를 이용하여 원통형 시료의 높이와 지름, 직육면체 시료의 가로, 세로, 두께를 측정한 후에 mean(평균)값, 표준오차를 구한 후 오차의 전파식을 통해 밀도를 구하여 문헌값과 비교해 보았다. 시료가 과연 순수한 구리나 알루미늄인지 아니면 다른 불순물들이 섞여있는지 이 實驗(실험)으로는 판단하기 힘들다. 하지만 불순물들이 섞여있다면 시료들의 밀도값에 큰 influence(영향)을 미칠 수있다고 생각된다 불순물이 있을 경우 높이나 지름같은 것에는 influence(영향)을 미치지 않을지 몰라도 질량에는 influence(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생각된다





實驗(실험)결과는 문헌값과 상당히 값의 차이가 났다. 이렇게 오차가 크게 난 이유는 3가지로 생각된다
☞이번 실험은 버니어 캘리퍼와 마이크로미터의 사용법을 익히고, 이들 기구를 이용하여 원통형 시료의 높이와 지름, 직육면체 시료의 가로, 세로, 두께를 측정한 후에 평균값, 표준오차를 구한 후 오차의 전파식을 통해 밀도를 구하여 문헌값과 비교해 보았다. 직육면체의 시료의 경우는 소수점 아랫단위로 오차가 났지만, 원통형 시료의 경우는 소수점 단위가 아니라 그 이상으로 오차가 크게 났다. 비록 소수점 아랫단위의 차이지만 계산을 하다보면 간접측정(測定) 이기 때문에 제곱이나 제곱근의 계산으로하면 상당한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마이크로미터와 버니어 캘리퍼의 경우 이 實驗(실험)에서 처음 사용한 기구이기 때문에 내가 측정(測定) 할 때 실수를 했을 수 있다는 것을 배제할 수 없다.
다.설명
Download : 오차의 전파, 고체의 밀도.hwp( 99 )
두 번째로는 측정(測定) 을 다 하고 mean or average(평균) 값과 표준편차를 구할 때 유효숫자를 맞추다 보니 그 이하의 소수점을 버리는 데에서 오차가 났을 수 있다 첫 번째 이유에서도 말했듯이 간접측정(測定) 을 통해 밀도를 구하는 것이기 때문에 사소한 숫자의 차이가 결과를 크게 바꿀 수 있다 아마 유효숫자를 맞추지 않고 긴 소수점을 이용하여 계산했더라면 위의 결과보다는 더 문헌값에 근접했을 것이다.
위의 3가지가 이번 實驗(실험)에서 오차가 크게 난 이유라고 생각된다 이런 오차 이유들을 고쳤다면 거의 문헌의 밀도값에 근접할 수 있었을 것이다
마지막 오차의 이유로는 시료들에 문제가 있는 경우이다.
오차의 전파, 고체의 밀도
레포트 > 자연과학계열
첫째로는 측정(測定) 시 마이크로미터와 버니어 캘리퍼로는 분별하기 힘들어서 눈으로 대략 크기를 측정(測定)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