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사회] 국어문법 연구의 어제와 오늘 / 국어문법 연구의 어제와 오늘 목차 Ⅰ. 현대 국어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8 08:34
본문
Download : 국어문법연구의 어제와 오늘.hwp
국어사 전반을 기술한 책들은 현대 국어를 19세기 말이나 20세기 초엽부터로 잡고 있다. 현대국어의 시기를 언제부터라고 잡든, 갑오경장을 맞으면서 우리의 국어의 사용 모습은 큰 change(변화)...
다. 이 후 선교사들의 문법을 거쳐 1900년을 전후하여 국내학자들에 의하여 연구되기 스타트하여 오늘에 이르렀다. 그러나 선교사들의 연구는 자신들의 필요를 충족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우리의 요구와는 거리가 멀었고, 우리들 자신의 손으로 국어 문법이 연구되고 그것이 배움의 마당에 응용된 것은 갑오경장(1894) 이후부터라 할 수 있다.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국어문법연구의 어제와 오늘 목차 Ⅰ. 현대 국어의 시대 구분 1. 갑오경...
[인문사회] 국어문법 연구의 어제와 오늘 / 국어문법 연구의 어제와 오늘 목차 Ⅰ. 현대 국어
국어문법연구의 어제와 오늘 목차 Ⅰ. 현대 국어의 시대 구분 1. 갑오경...





순서
Download : 국어문법연구의 어제와 오늘.hwp( 78 )
인문사회 국어문법 연구의 어제와 오늘 / 국어문법 연구의 어제와 오늘 목차 Ⅰ. 현대 국어
설명
국어문법연구의 어제와 오늘 목차 Ⅰ. 현대 국어의 시대 구분 1. 갑오경장 이전의 문법연구 2. 갑오경장 한일합방 3. 한일합방 해방4. 해방이후 Ⅱ. 국어학자들 1. 유길준 2. 주시경 3. 김두봉 4. 최현배 Ⅲ. 북한의 문법연구 Ⅳ. 국어문법연구의 未來 Ⅰ. 현대 국어의 시대 구분 . 갑오경장 이전의 문법연구 우리말의 문법적 사실이 학문적 바탕 위에서 연구된 것은 19세기 전반기 일본에 와 있던 독일인 의사 지볼트(Fr. von Siebold)가 서양문법의 관점으로 국어의 문법적 사실을 고찰하고 특징을 파악한 것이 국어문법연구의 효시가 된다 우리 국어가 라틴 조명 문법에 의하여 조명을 받기 스타트한 것은 1832년 지볼트에서부터이다. 그러나 민현식은 어휘 영역의 개신파가 급격히 일기 스타트하는 1876년 개항 때부터 현대국어가 스타트한다고 보았다. 김형규와 박병채는 1894년 갑오경장에서부터 현대 국어가 스타트된다고 보고, 이기문은 20세기 초엽 이후를 현대 국어로 보았다. 한글이 언문에서 국문으로 자리를 잡고, 언문일치 운동 등으로 구어체 문장이 보편화되었으며, 어휘 등에서 현저한 change(변화)가 스타트되었음을 그 근거로 잡은 것이다. . 갑오경장 한일합방 현대 국어의 스타트을 어느 시기부터 잡는가 하는 문제를 풀기란 그리 쉽지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