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교육과정변천사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07-10 19:47
본문
Download : 한국교육과정변천사.hwp
식민지교육에서 자주독립국가의 교육으로 탈바꿈하고 민주교육을 갖추기 위한 과도기적 성격을 띄고 있었다. 그리고 日本(일본)교과서를 사용하는 경우라도 교사만에 국한할 것을 강조하였다.
미군정기의 교육과정은 1945년 9월 22일 최초로 “교수 요목과 시...
change(변화)의 흐름
1. 7차에 걸친 변천
2. 교과 ⇒ 경험 ⇒ 학문 ⇒ 인간중심 ⇒ 통합주의
3. 교과 편성 : 분과주의 ⇒ 통합주의
4. 중앙집중 체제(국가주도)형 ⇒ 지방분산 체제(학교주도)형
5. 필수과목 축소 ⇒ 선택과목 확대
6. 공급자 중심 교육과정 ⇒ 학습자 중심 교육과정
7. 전면적, 일시 개정 체제 ⇒ 부분, 수시 개정 체제
교수요목시기 (1945. 8. 15 ~ 1954. 4. 19)
1945년 8월 15일 광복을 계기로 한국교육은 일제강점 36년간의 식민지 교육에서 새로운 민주주의 교육으로 전환하게 되었다. 광복 후 민국수립에 이르기까지 약 3년간 미군정이 계속되는 동안 민주교육의 터전을 닦는데 주력하였다. 1948년 政府(정부) 수립까지 짧은 미군정기에도 교과편제가 초등학교는 네 次例(차례), 중등학교는 세 次例(차례)나 바뀌었다. 교수시간은 하루 3시간씩 일주일에 18시간으로 하였다.
순서
한국교육과정변천사,사범교육,레포트
한국교육과정변천사
Download : 한국교육과정변천사.hwp( 50 )
레포트/사범교육
설명
한국교육과정변천사






change(변화)의 흐름
1. 7차에 걸친 변천
2. 교과 ⇒ 경험 ⇒ 학문 ⇒ 인간중심 ⇒ 통합주의
3. 교과 편성 : 분과주의 ⇒ 통합주의
4. 중앙집중 체제(국가주도)형 ⇒ 지방분산 체제(학교주도)형
5. 필수과목 축소 ⇒ 선택과목 확대
6. 공급자 중심 교육과정 ⇒ 학습자 중심 교육과정
7. 전면적, 일시 개정 체제 ⇒ 부분, 수시 개정 체제
교수요목시기 (1945. 8. 15 ~ 1954. 4. 19)
1945년 8월 15일 광복을 계기로 한국교육은 일제강점 36년간의 식민지 교육에서 새로운 민주주의 교육으로 전환하게 되었다. 교과서문제는 각 학교로 하여금 적당히 처리하게 하되, 산술, 이과 등의 교과목 외에는 日本(일본)교과서 사용을 금하였다. 교수용어는 한국어이어야 하고 우리나라에 해로운 학과나 의식 또는 행사는 금하였다. 식민지교육에서 자주독립국가의 교육으로 탈바꿈하고 민주교육을 갖추기 위한 과도기적 성격을 띄고 있었다.
미군정 하의 학무국은 1945년 9월 16일, 일반명령으로 9월 24일을 기해서 모든 초등학교의 재개를 지시하였다.
중등학교 이상의 학교는 10월 1일을 기해서 개교하게 하고 교과편제와 시간배당은 공,사립 중학교와 고등학교에서 가르칠 과정을 결정하였는데 주당 3…(To be continued )
한국교육과정변천사 , 한국교육과정변천사사범교육레포트 , 한국교육과정변천사
다.
미군정기의 교육과정은 1945년 9월 22일 최초로 “교수 요목과 시간배당령”이라는 이름으로 미군정청이 제정 공포하였다. 그리고 임시로 교과목 및 매주 교수시수를 정하였는데 당시의 사정은 교사가 크게 부족해서 거의 모든학교가 2부제 수업을 하지 않을 수 없었다. 광복 후 민국수립에 이르기까지 약 3년간 미군정이 계속되는 동안 민주교육의 터전을 닦는데 주력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