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 삼풍백화점 붕괴사고의 Cause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04 21:24
본문
Download : [건축] 삼풍백화점 붕괴사고의 원인.hwp
1. 구조. 설계 단계
1. 구조. 설계 단계 2. 재료 3. 시공 4. 감리, 감독상의 문제점 5. 유지관리 6. 사회 환경적 요인 7. 결론
3. 시공
레포트 > 공학,기술계열
1995년 6월 29일 오후 5시 55분
삼풍백화점은 판매시설 건물인 A동과 레포츠 건물인 B동이 중앙통로로 연결된 지하 4층, 지상 5층 건물로 지상층은 폭 50.4m, 길이 147.2m, 지하층은 폭 79.2m, 길이 174.5m로 건축되었다. 1945년 광복 이후 50년간 일어난 각종 재난 가운데 가장 많은 희생자를 낸 사상 최악의 사고였다.
4. 감리, 감독상의 문제가되는점
![[건축] 삼풍백화점 붕괴사고의 원인-6060_01.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306/%5B%EA%B1%B4%EC%B6%95%5D%20%EC%82%BC%ED%92%8D%EB%B0%B1%ED%99%94%EC%A0%90%20%EB%B6%95%EA%B4%B4%EC%82%AC%EA%B3%A0%EC%9D%98%20%EC%9B%90%EC%9D%B8-6060_01.jpg)
![[건축] 삼풍백화점 붕괴사고의 원인-6060_02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306/%5B%EA%B1%B4%EC%B6%95%5D%20%EC%82%BC%ED%92%8D%EB%B0%B1%ED%99%94%EC%A0%90%20%EB%B6%95%EA%B4%B4%EC%82%AC%EA%B3%A0%EC%9D%98%20%EC%9B%90%EC%9D%B8-6060_02_.jpg)
![[건축] 삼풍백화점 붕괴사고의 원인-6060_03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306/%5B%EA%B1%B4%EC%B6%95%5D%20%EC%82%BC%ED%92%8D%EB%B0%B1%ED%99%94%EC%A0%90%20%EB%B6%95%EA%B4%B4%EC%82%AC%EA%B3%A0%EC%9D%98%20%EC%9B%90%EC%9D%B8-6060_03_.jpg)
![[건축] 삼풍백화점 붕괴사고의 원인-6060_04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306/%5B%EA%B1%B4%EC%B6%95%5D%20%EC%82%BC%ED%92%8D%EB%B0%B1%ED%99%94%EC%A0%90%20%EB%B6%95%EA%B4%B4%EC%82%AC%EA%B3%A0%EC%9D%98%20%EC%9B%90%EC%9D%B8-6060_04_.jpg)
![[건축] 삼풍백화점 붕괴사고의 원인-6060_05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306/%5B%EA%B1%B4%EC%B6%95%5D%20%EC%82%BC%ED%92%8D%EB%B0%B1%ED%99%94%EC%A0%90%20%EB%B6%95%EA%B4%B4%EC%82%AC%EA%B3%A0%EC%9D%98%20%EC%9B%90%EC%9D%B8-6060_05_.jpg)
다. 설계시공 및 유지 관리상의 결함이 복합적 요인으로 작용하고 그 부실요인이 장기간에 걸쳐 상호작용해 발생한 이 사고는 결국 행정 관료의 부패와 부실시공이 빚은 인재로서 국민들에게 엄청난 충격을 주었다. A동과 B동 각 건물의 모서리에는 계단실, 엘리베이터 홀, 화장실 용도의 철근 콘크리트 내력벽 코어가 설치되었는데, 이번 사고로 코어 부분을 제외한 A동 전체와 중앙통로가 완전히 붕괴되었으며 B동은 잔존했다.
Download : [건축] 삼풍백화점 붕괴사고의 원인.hwp( 48 )
순서
건축,삼풍백화점 붕괴사고의 원인
6. 사회 環境(환경)적 요인
5. 유지관리
[건축] 삼풍백화점 붕괴사고의 Cause
2. 재료
설명
7. 결론
서울특별시 서초구 서초동에 위치한 삼풍백화점이 붕괴하여 500여 명이 사망한 사건이 발생했다. 또한 건물이 일부 무너지는 등 이상 징후가 보이는 가운데에서도 영업을 계속한 안전 불감증과 사고 후 응급장비 부족이나 구조체계의 미비로 희생자가 더욱 많이 발생한 참사로서 건설업계뿐만 아니라 언제, 어디서, 어떻게 발생할지도 모르는 예측 불허의 비상사태에 대비한 안전체계 전반에 허다하게 뚫려 있는 허점을 시정하지 않으면 안 된다는 課題를 남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