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가 더 놀랐을까 [ 감상문(report)]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3 15:34
본문
Download : 누가 더 놀랐을까 [감상문].hwp
![누가 더 놀랐을까 [감상문]-5677_01.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204/%EB%88%84%EA%B0%80%20%EB%8D%94%20%EB%86%80%EB%9E%90%EC%9D%84%EA%B9%8C%20%5B%EA%B0%90%EC%83%81%EB%AC%B8%5D-5677_01.gif)
![누가 더 놀랐을까 [감상문]-5677_02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204/%EB%88%84%EA%B0%80%20%EB%8D%94%20%EB%86%80%EB%9E%90%EC%9D%84%EA%B9%8C%20%5B%EA%B0%90%EC%83%81%EB%AC%B8%5D-5677_02_.gif)
![누가 더 놀랐을까 [감상문]-5677_03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204/%EB%88%84%EA%B0%80%20%EB%8D%94%20%EB%86%80%EB%9E%90%EC%9D%84%EA%B9%8C%20%5B%EA%B0%90%EC%83%81%EB%AC%B8%5D-5677_03_.gif)
![누가 더 놀랐을까 [감상문]-5677_04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204/%EB%88%84%EA%B0%80%20%EB%8D%94%20%EB%86%80%EB%9E%90%EC%9D%84%EA%B9%8C%20%5B%EA%B0%90%EC%83%81%EB%AC%B8%5D-5677_04_.gif)
![누가 더 놀랐을까 [감상문]-5677_05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204/%EB%88%84%EA%B0%80%20%EB%8D%94%20%EB%86%80%EB%9E%90%EC%9D%84%EA%B9%8C%20%5B%EA%B0%90%EC%83%81%EB%AC%B8%5D-5677_05_.gif)
평생 봉사일에 종사하던 사람이 갑자기 과학을 하라고 들었을 때가 이런 기분일까. 여기서 환경미화원이라는 직책비하가 아닌, 다른분야에 몰상식하고 무지한 나를 빗대어 표현하는 것이다.
밤을 꼬박 새가며 준비했지만 마음에 차지않아 수없이 고쳐 쓴 글들과 딱히 맞지 않는 단어와 문법 때문에 쥐어뜯어져 나간 머리카락들, daum(수업)카페에서 10시까지 나의 글을 출력하기 위해 기다린 여기계신 모든 분들게 죄송하다.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설명
4.「누가 더 놀랐을까」는 무슨맛?·· 4
1.서론·· 2 2.도종환 선생님은?·· 2 3.「누가 더 놀랐을까」를 읽고..·· 2 4.「누가 더 놀랐을까」는 무슨맛?·· 4 5.「누가 더 놀랐을까」참고·· 5 6.참고·· 6
다. 1.서론·· 2
찾으면 찾을수록 동시의 깊이에 대해 알게 되는지라 동시 한구절에 그저 머리를 숙여진다.
Download : 누가 더 놀랐을까 [감상문].hwp( 62 )
5.「누가 더 놀랐을까」참고·· 5
누가 더 놀랐을까 [ 감상문(report)]
누가 더 놀랐을까,감상문
순서
그동안 펴낸 시집으로 <고두미 마을에서>, <접시꽃 당신>, <지금 비록 너희 곁을 떠나지만>, <당신은 누구십니까>, <사람의 마을에 꽃이 진다>, <부드러운 직선>, <슬픔의 뿌리>, 등이 있고, 산문집으로 <그때 그 도마뱀은 무슨 표정을 지었을까>, <모과>, <사람은 누구나 꽃이다> , <마음의 쉼표> 등이 있다. 시 <지진>으로 제5회 윤동주문학상을 수상했다.
시에서 나타나는 운율적 아름다움도 체계적으로 논할 수 없으며, 이 동시가 현대문학에 주는 어떠한 의미도 모르겠다. 제8회 신동엽 창작상, 올해의 예술상, 거창 평화인권문학상 등을 받았으며 세상을 밝게 만든 100인에 선정되기도 했다.
2.도종환 선생님은?·· 2
6.참고·· 6
3.「누가 더 놀랐을까」를 읽고쓰기..·· 2
충북 청주에서 태어났다.
동시에 관해 아는 것이 없으니 어떤 발표도 할 수 없다는 것이 지금 솔직한 심정이다. 교사의 길과 시인의 길을 함께 걸어오다 1998년 해직 10년 만에 복직하여 아이들을 가르치다가 5년 전 다시 교단을 떠나 충북 보은군 산속에서 생활하며 작품 활동을 하고 있다.
2.도종환 선생님은?
지금 하는 발표에서 동시에서 나온, 나오지 않은 모든 것, 내가 아는것 전부 발표에 녹아 들어가면 좋겠다는 것이 내 유일한 소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