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리기구의 불확실성(3)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09-23 08:31
본문
Download : 유리기구의 불확실성(3).hwp
(ㄹ) 공기방울이 없어지면 콕을 잠근다.
(ㅇ) 뷰렛에 담긴 용액을 다른 용기로 옮길 때는 콕을 이용하여 그 속도 및 양을 조절하고 배출구에는 방울이 맺혀있지 않도록 주의한다.
(ㄴ) 피펫을 사용할 때는 피펫용 필러를 사용하고 절대 입으로 빨아들이는 행동은 하지 않 는다.
뷰렛(burette)
(ㄱ) 뷰렛을 세척액으로 씻고 증류수로 두세 번 헹구어 준 후 아세톤으로 물기를 닦아내고 말린다.
(ㅂ) 용액의 메니스커스와 뷰렛의 눈금이 일치하면 콕을 잠그고 이때의 값 을 유효숫자를 고려하여 기록한다.
저울의 전원을 켜고 저울이 안정화 될 때 (숫자 變化(변화)가 없음)까지 기다린다.
(ㄴ) 콕을 잠그고 뷰렛 안에 용액을 넣는다.(이 때 사용할 용액의 양보다 더 많이 넣어야한다.
실험결과/기타
유리기구,불확실성,기타,실험결과
설명
유리기구의 불확실성(3)
Download : 유리기구의 불확실성(3).hwp( 82 )
1. 목적
저울 사용법과 액체를 사용하는 기구의 사용법을 익히고 데이터 처리 및 북확실도 추정 방법을 학습한다.
…(drop)
유리기구의 불확실성(3)
순서
유리기구의 불확실성(3) , 유리기구의 불확실성(3)기타실험결과 , 유리기구 불확실성
다.
(ㄷ) 정밀도는 홀피펫이 높지만 몰피펫은 임의 량의 액체를 취하는 데 편리하다.
(2)부피측정(測定) 기구의 눈금 읽기
피펫(pipette)
(ㄱ) 피펫은 일정한 양의 액체를 정확히 취하기 위해 사용하는 유리기구로 유리관의 중앙 부에 부풀어진 곳이 있어서 일정용적을 취할 수 있게 한 홀피펫과 뷰렛처럼 유리관에 세밀하게 눈금이 잇고 유출 도중에도 용적을 볼 수 있게 괸 몰피펫 (또는 메스피펫) 으로 크게 나뉜다.
시료를 저울에 올리고 무게를 측정(測定) 한다.
저울이 안정화되면 zero버튼을 눌러 영점을 설정한다.
2. 원리
(1) 저울 사용법
저울을 평평한 곳에 놓고 조절나사를 통해 수포가 원 안에 들어오도록 평형을 맞춘다.)
(ㄷ) 콕을 열어 용액을 세게 흘려줌으로써 콕 아래쪽의 유리관의 공기방울 을 제거한다.
(ㅁ) 콕을 조금 열어 용액을 흘려내면서 뷰렛에 담긴 용액의 메니스커스를 특정 눈금에 맞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