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 소프트타운 청사진>(1)대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7 18:13
본문
Download : 02110.gif
<신 소프트타운 청사진>(1)대구
Download : 02110.gif( 46 )
앞으로 소프트타운의 중심역할을 맡게 될 대구디지털산업진흥원은 소프트타운의 조성 및 운영은 물론, 지역 IT산업 발전을 위한 인프라 구축, 전문인력 양성, 기업지원사업, IT산업 정보관리, 네트워크 등 다양한 사업들을 전개할 계획이다.
<신 소프트타운 청사진>(1)대구
대구디지털산업진흥원 박광진 원장은 “이번 소프트타운 지정으로 대구SW비즈니스타운은 지역 정보기술(IT) 및 文化(문화)기술(CT) 관련 산업의 서식지로서 대외 경쟁력을 획기적으로 강화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정부가 지역 소프트웨어(SW)산업을 육성하기 위해 최근 대구와 대전, 전주 등 3개 지역 SW집적지를 소프트타운으로 추가 지정했다.
진흥원은 우선 ‘지역 SW산업의 메카’라는 장기 비전을 目標(목표)로 소프트타운의 발전계획을 3단계 나눠 추진하고 있따
레포트 > 기타
property(특성)화사업은 장기적으로 내장형(임베디드) SW 및 게임, 애니메이션 등 멀티미디어산업으로 특화, 이 분야를 중심으로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한다.
특히 SW기업의 경영지원을 위해 재무·회계·세무·변리·마케팅·교육·금융 등 20여개의 지원기관이 타운 및 타운 인근에 위치, 벤처 비즈니스를 위한 최적의 環境을 고루 갖췄다. 이에 따라 지난 3월 지정된 인천·춘천·부산·광주 등 네곳을 합쳐 지역 소프트타운은 모두 7개 지역으로 늘어났으며 정통부는 이들 소프트타운에 정부차원의 지원을 펼칠 계획이다.
다.
★관련 그래프/도표 보기
마지막 3단계로는 진흥원이 글로벌화를 지향하는 조직체계를 구축하고 자생력을 갖추는 한편 소프트타운을 지역 SW산업의 point기능을 수행하는 공간으로 자리잡도록 한다는 전술이다. 집적화사업은 옛 계명대 대명동 캠퍼스 일대를 소프트타운 공간으로 조성, 관련업체는 물론 지원기관과 연구기관 등을 유치해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하게 된다된다. 이번에 새롭게 추가된 대구·대전·전주 등 3개 소프트타운의 現況(현황) 과 향후 계획을 intro 한다. 지난해 매출(188억원)과 수출실적(2320만원)과는 비교가 되지 않을 정도로 급성장했으며, 고용인력도 700여명에 이른다.
<신 소프트타운 청사진>(1)대구
대구지역 SW산업은 지난해에 이어 지속적인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따 소프트타운으로 지정된 대구SW비즈니스타운의 운영기관인 대구디지털산업진흥원에 따르면 대구경북지역 올 상반기 SW산업의 총 매출규모는 1714억원으로 지난해 1513억원을 이미 초과달성했다.





이는 대구가 전자 및 반도체 중심의 구미국가산업단지를 인근에 두고 있고, 풍부한 SW創業(창업)보육 및 집적시설, 벤처지원기관과 더불어 전기·전자, 멀티미디어 등 IT분야의 풍부한 전문인력을 배출하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된다. 수출액도 올 상반기 54억원으로 지난해 31억5000만원보다 크게 늘었다. 오는 2005년까지 추진할 2단계는 지역 創業(창업)보육(BI)산업 협력화 및 국내외 유관기관간 네트워크 구축으로 지역 BI산업 협력시스템 확립과 해외시장채널 및 BI전문기관과의 네트워크 강화를 위한 단계다.
이번에 지정된 소프트타운 대상 지역인 대구시 남구 옛 계명대 대명동캠퍼스(대구SW비즈니스타운)는 11만6000㎡(3만5000평)의 면적에 대구SW지원센터·대구文化(문화)산업지원센터·디지털미디어센터·디자인산업진흥센터 등 SW관련 지원센터와 기업들이 모여 하나의 SW벤처 생태계를 형성하고 있따
지역 SW기업 5개 중 1개가 이곳에 있을 정도로 기업 집적도가 높은 대구SW비즈니스타운에는 현재 53개 SW기업이 올 상반기 313억원의 매출과 5370만원의 수출 성과를 일궜다. 편집자
이미 지난해부터 스타트해 내년까지 추진할 1단계 발전계획으로 지원기관간 협력체계 구축, 자립대안 모델 제시, 전문조직 구성 등 ‘IT진흥조직 활성화 및 조직역량 강화’에 나선다.
<대구=정재훈기자 jhoon@etnews.co.kr>
설명
순서
<신 소프트타운 청사진>(1)대구
소프트타운 조성과 함께 대구디지털산업진흥원은 집적화사업·property(특성)화사업·네트워킹사업 등 3대사업을 중점 추진하기로 했다. 또 네트워킹사업을 통해 지역은 물론 국내외 기관과 다양한 협력채널을 구축, 업체에 대한 지원을 강화하기로 했다.